본문 바로가기
indonesia

금주의 인도네시아 소식:22.10.03

by coconut wood 2022. 10. 3.
728x90

 

 

한 주 동안의 인도네시아 관련 뉴스

 

한-인니 출입국 방역 절차

 

 

 

인니 가루다항공, 미국서 파산보호 신청…부채조정 반대 대비

https://www.yna.co.kr/view/AKR20220927078400104?input=1195m 

 

인니 가루다항공, 미국서 파산보호 신청…부채조정 반대 대비 | 연합뉴스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대규모 부채로 재정난에 시달리는 인도네시아 국영 항공사 가루다 인도네시아가 미국 법원에 파산 보호를 신청...

www.yna.co.kr

 

사족) 인도네시아 가루다 항공은 20세기말에는 웬만하면 타고 싶지 않은 항공사였다.

잦은 연착과 안전에 관해 불안한 느낌이 드는 것이 사실이었다. 하지만 인니 국내선은 다른 대안이 없었다.

그 후 많은 저가 항공사들이 생겼고 그나마 가루다가 그 중에서는 최고의 선택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어느 날 급하게 인니에서 지방으로 갈 일이 있어 예약도 하지 않은 상황에서 저가 항공사 티켓을 공항에서 사서 출발한 적이 있었다. 티켓도 버스 회수권 같은 것을 줘서 심히 의심이 드는 상황이었지만 다행히 비행기는 있었다.

하지만 티켓에 적힌 내 좌석 번호가 그 비행기내에 없었다.

불안한 마음으로 승무원에게 물어보니 아무 자리나 앉으라고 했다.

자리에 앉으니 안전벨트가 고장 나 있었다.

얼마 후 승무원이 와서 기내식이라며 나뭇잎에 싼 밥을 던져주고 갔다.

승무원의 유니폼이 노란색이었는데 때가 꼬질꼬질한 것이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잊히지 않는다.

이 모든 것이 사실이라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자카르타 대기 오염 계속되면 기대수명 5.5년 단축 우려"

https://www.yna.co.kr/view/AKR20220927091400104?input=1195m 

 

"자카르타 대기 오염 계속되면 기대수명 5.5년 단축 우려" | 연합뉴스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전 세계에서 대기질이 가장 나쁜 도시 중 하나인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에서 지금 같은 대기 오염 상태가...

www.yna.co.kr

사족) 자카르타의 대기 오염은 심각하게 나쁘다고 밖에 할 수 없는 수준이다.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는데 예전에는 재력이 있는 집에도 공기 정화기를 본 적이 없다.

그냥 그러려니 하며 살다 보니 경각심이 흐려진 탓도 있을 것이다.

펜데믹때문에 마스크라도 끼고 살게 되었으니  팬데믹으로 인한 유일한 장점일 수도 있겠다.

 

 

 

30시간 걸려 파푸아 찾은 한국 의료봉사단…"주민과 함께라면…"

 

https://www.yna.co.kr/view/AKR20220927001700104?input=1195m 

 

30시간 걸려 파푸아 찾은 한국 의료봉사단…"주민과 함께라면…" | 연합뉴스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의 조원민 교수는 인도네시아 파푸아에서 한국으로 돌아오자마자 다음날 밀렸던 수술 3개를...

www.yna.co.kr

 

사족) 의료봉사단이 찾은 파푸아는 필자도 가본 적이 없다.

그리고 그 사실을 감사한다. 그 정도로 파푸아는 열악한 곳이라고 지인들에게 들었던 것이다.

다른 지역도 아니고 거기까지 간 의료봉사단에게 존경을 표하는 바이다.

 

 

"인도네시아 제조업 강국 부상…중국 대체지로 떠올라"

https://www.yna.co.kr/view/AKR20220928124900104?input=1195m 

 

"인도네시아 제조업 강국 부상…중국 대체지로 떠올라" | 연합뉴스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전 세계 인구 4위 국가인 인도네시아가 값싼 노동력과 풍부한 천연자원, 거대한 내수 시장을 앞세워 제조업...

www.yna.co.kr

사족) 인도네시아의 제조업에 종사했던 사람으로서 얘기하면 노동력의 경우는 잠재력이 크다고 본다.

묵묵히 열심히 일하는 근로자들이 많은 곳이다. 작업의 빠르기는 한국에 비하면 살짝 떨어질 순 있지만

적절한 목표량에 비해 실적이 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제조업으로 부상하기 위해서는 공무원과 노조의 두 가지 큰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

대통령 혼자 노력한다고 가능한 일이 아니고 사회의 분위기가 바뀌어야 하는 난관이 있는 것이다.

 

인도네시아, 자체 개발 코로나 백신 '인도박' 사용 승인

https://www.yna.co.kr/view/AKR20220929083000104?input=1195m 

 

인도네시아, 자체 개발 코로나 백신 '인도박' 사용 승인 | 연합뉴스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인도네시아가 자체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인도박(Indovac)의 사용을 승...

www.yna.co.kr

 

사족) 인니도 외국 자본이 투자한 대형 제약회사들이 있다. 그러니 의료 기술을 낮게 폄하할 이유는 없다.

하지만 나보고 이 백신을 맞으라고 하면 안 맞을 것이다. 왜냐면 이미 검증된 다른 백신이 있기 때문이다.

 

강달러에 놀란 인니, 대통령까지 외환시장 달래기 나서

https://www.yna.co.kr/view/AKR20220929130200104?input=1195m 

 

강달러에 놀란 인니, 대통령까지 외환시장 달래기 나서 | 연합뉴스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강달러 현상으로 인도네시아 루피아 가치가 연일 하락하자 외환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인도네시아 대통령까지 ...

www.yna.co.kr

사족) 인니에서 살다 보면 달러 강세로 받는 혜택이 있다.

수출 기업의 경우 달러로 계약을 하므로 당연히 환율차로 인한 이윤이 크다.

월급을 받는 입장에선 주로 달러로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환전시 받는 이윤도 크다.

그러나 인니는 생필품중 수입산이 많으므로 환율이 뛰면 물건 값이 오른다.

그리고 하고 오른 물건값은 환율이 내려간다고 내리지 않는 법이다.

결국 장기적으로 보면 월급으로 사는 사람은 손해인 것이다.

 

인도네시아 서파푸아 반군, 도로 공사 노동자 4명 사살

https://www.yna.co.kr/view/AKR20220930157100104?input=1195m 

 

인도네시아 서파푸아 반군, 도로 공사 노동자 4명 사살 | 연합뉴스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인도네시아 서파푸아주에서 무장 반군 단체의 총격에 의해 노동자 4명이 사망하는 일이 벌어졌다.

www.yna.co.kr

 

사족) 파푸아가 이렇게 위험한 곳이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서 규모 6.0 강진…1명 사망·수십명 부상

https://www.yna.co.kr/view/AKR20221001031000104?input=1195m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서 규모 6.0 강진…1명 사망·수십명 부상 | 연합뉴스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북부 지방에서 1일(현지시간) 규모 6.0의 강진이 발생해 1명이 사망했다고 인도네시...

www.yna.co.kr

사족) 인도네시아는 지진 활동이 잦은 나라이다. 우리나라에 사는 것이 다행이다.

단군 할아버지에게 오늘만이라도 감사해야 한다.

 

 

인니 지방정부, 축구장 참사 사망 125명으로 수정…"일부 중복"(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21002048300104?input=1195m 

 

인니 지방정부, 축구장 참사 사망 125명으로 수정…"일부 중복"(종합) | 연합뉴스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인도네시아 프로축구 경기장에서 관중들의 난입으로 대규모 사망자가 나온 사건이 벌어진 지 만 하루가 다 되...

www.yna.co.kr

사족) 한때 우리나라에서 지역 감정이 첨예하게 벌어지는 것처럼 여겨지던 때가 있었다.

인니는 우리 나라에 비해 지역감정의 골이 더 심각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같은 민족 이기라도 하지만 인니는 종족이 다르고 언어마저 달랐던 것이다.

축구 경기는 경기가 아니라 이곳에서는 전쟁인 것이다.

원정군은 기차를 전세 내다시피 해서 타 지역에 원정을 간다.

그들 입장에서는 타 지역에 가는 것은 거의 목숨을 걸고 가는 것이다.

가까운 지역은 특히 더 사이가 나쁜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붙어 있다 보면 부딪힐 일이 많아지는 법이다.

중국과 일본을 보면 알 수 있다.

우리가 멀리 있는 국가인 아르헨티나 혹은 브라질과 사이가 나빠질 이유가 어디 있겠는가?

다 축구 탓이다.

 

--이상--

728x90

댓글